정치외교학과 졸업요건
입학년도별 전공필수과목
~ 2014년도 입학자까지 필수과목 | 2015년도 입학자부터~2018년도 입학자까지 | 2019년도 입학자부터 |
---|---|---|
지정과목 4개 국제정치입문, 비교정치입문, 한국정치입문, 정치사상입문 (★정치학영어강독은 전필 X ->전선으로 인정) |
지정과목 5개 국제정치입문, 비교정치입문, 정치사상입문, 한국정치입문, 정치학영어강독 |
필수과목 없음 |
졸업요건(2025학년도 입학자)
교양(최소 31학점 ~ 최대 42학점) | 전공 | 졸업 자격 인증 |
|||||||
---|---|---|---|---|---|---|---|---|---|
기초교양 | 균형교양 | 진로 | 전필 | 전선 | 전공 심화 |
||||
기초필수 | 기초선택 | ||||||||
의사소통영역 | 문제해결영역 | ||||||||
대학글쓰기 | 고전명저이해, 비판적사고와토론 택1 |
과학적사고와문명, 통계적사고와사회 택1 |
디지털(SW) | 3학점 | 1학점 | 0학점 | 42학점 | 21학점 | 토익 700이상 |
인간과문화 | 3학점 | ||||||||
삶과사회 | 9학점 | ||||||||
외국어 | 3학점 | ||||||||
글로컬 | 3학점 | ||||||||
3학점 | 3학점 | 3학점 | 21학점 | ||||||
졸업요건 1. 졸업학점 총 130학점 이수(졸업학점 130=교양+전공심화+기타 또는 교양+전공42+다전공+기타) *다전공(부전공, 복수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 전공심화 중 필수적으로 하나 이상의 과정 이수하여 졸업 가능(편입생제외) *전공심화학점 63학점 이상 이수하거나, 다전공졸업학점 2. 졸업자격인증제: 토익 700이상 취득 3. 1학년 평생지도교수 상담 학기별 1회씩, 2,3,4학년 매학기 전공진로설계 이수 |
졸업요건(2023~2024학년도 입학자)
교양 최소 이수학점 | 전공 (전공심화 또는 복수,부,연전 등 이수 필수) |
졸업 자격 인증 |
||||||
---|---|---|---|---|---|---|---|---|
기초교양(필수) | 핵심교양(필수) | 일반교양(필수) | 소프트웨어(필수) | 교양선택 | 전필 | 전선 | 전공심화 | |
·표현력: 글쓰기, 실용영어 ·문해력: 고전명저읽기 ·사고력: *3개중 1개 선택 |
·인간영역: 1과목 ·자연영역: 1과목 ·사회영역: 1과목** ·영역별 1과목 추가 선택 |
·대학생활과진로설계 (2학기 개설) |
※소프트웨어(SW)지정 교과목 중 1과목 | 기초/핵심/일반 교양에서 선택 | 0 | 42 | 21 | 토익 700이상 |
12학점 | 12학점 | 1학점 | 3학점 | 2~12 | 0 | 42학점 | 21학점 | |
*기초교양 사고력 과목: 비판적사고와토론, 통계적사고와사회, 컴퓨팅사고와인간 **핵심교양 사회영역: 정치학의이해 권장, 핵심교양 자연영역 중 이공계핵심기초 과목은 인정되지 않음 ※소프트웨어(SW) 지정교과목 - 핵심교양 자연영역: 컴퓨터과학과코딩, 웹프로그래밍기초, 인공지능의이해 - 핵심교양 사회영역: 현대사회와빅데이터분석 - 일반교양 수리/정보영역: 데이터과학기초, C언어기초, 빅데이터이해및활용, 디지털콘텐츠제작, 알고리즘과단계적사고, 소셜미디어콘텐츠개발 - 소프트웨어(SW) 지정교과목 중복인정 가능: 예)컴퓨터과학과코딩 이수 시 핵심교양 자연영역, SW 지정교과목 모두 인정 |
-졸업학점 130학점=-교양최소30(최대42)+전공42(심화21)+a - 전공필수 과목 없음 - 졸업자격인증제 - 1학년 평생지도교수 상담 학기별 1회씩 - 2,3,4학년 매학기 전공진로설계 이수 |
졸업요건(2020~2022학년도 입학자)
교양(최소30학점-최대40학점) | 전공(전공심화 또는 복수,부,연전 등 이수 필수) | 졸업자격인증 | |||||
---|---|---|---|---|---|---|---|
기초교양(필수) | 핵심교양(필수) | 일반교양(필수) | 교양선택 | 전필 | 전선 | 전공심화 | |
·표현력: 글쓰기, 실용영어 ·문해력: 고전명저읽기 ·사고력: *3개중 1개 선택 |
·인간영역: 1과목 ·자연영역: 1과목 ·사회영역: 1과목** ·영역별 1과목 추가 선택 |
·대학생활과진로설계 (2학기 개설) | 기초/핵심/일반 교양에서 선택 | 0 | 42 | 21 | 토익 700이상 |
12학점 | 12학점 | 1학점 | 5~17학점 | 0 | 42학점 | 21학점 | |
*기초교양 사고력 과목: 비판적사고와토론, 통계적사고와사회, 컴퓨팅사고와인간 **핵심교양 사회영역: 정치학의이해 권장, 핵심교양 자연영역 중 이공계핵심기초 과목은 인정되지 않음 |
-졸업학점 130학점=-교양최소30(최대42)+전공42(심화21)+a -전공필수 과목 없음 -졸업자격인증제 -1학년 평생지도교수 상담 학기별 1회씩 -2,3,4학년 매학기 전공진로설계 이수 |
졸업요건(2019~2008학년도 입학자)
학부(과)전공 | 적용 학번 | 교양이수학점 | 전공이수학점 | 졸업학점 | 적용개시년도 | ||||||||
---|---|---|---|---|---|---|---|---|---|---|---|---|---|
최소이수학점 | 최대인정 | 최소전공인정학점 | 전공심화 | 합계 | |||||||||
기초교양 | 핵심교양 | 선택 | 소계 | 전필 | 전선 | 소계 | |||||||
정치외교학과 | 2019학년도 입학자 | 10 | 9 | 10 | 29 | 35 | 0 | 42 | 42 | 21 | 63 | 130 | 2019 |
2018학년도 입학자 | 10 | 9 | 10 | 29 | 35 | 15 | 27 | 42 | 21 | 63 | 130 | 2018 | |
2014~2017학년도 입학자 | 11 | 9 | 9 | 29 | 35 | 15 | 27 | 42 | 21 | 63 | 130 | 2015 | |
11 | 9 | 9 | 29 | 35 | 12 | 30 | 42 | 21 | 63 | 130 | 2014 |
학부(과)전공 | 적용 학번 | 교양 최소이수학점 | 최대인정 | 최소 전공이수학점 | 전공심화 | 합계 | 졸업학점 | 적용개시년도 | ||||
---|---|---|---|---|---|---|---|---|---|---|---|---|
교양필수 | 교양선택 | 계 | 전필 | 전선 | 소계 | |||||||
정치외교학과 | 2012~2013학년도 입학자 | 11 | 18 | 29 | 46 | 12 | 30 | 42 | 21 | 63 | 130 | 2012 |
2010~2011학년도 입학자 | 11 | 18 | 29 | 상한선 없음 | 12 | 30 | 42 | 21 | 63 | 130 | 2010 | |
2009학년도 입학자 | 11 | 18 | 29 | 12 | 30 | 42 | 21 | 63 | 140 | 2009 | ||
정치사회학부(정치외교학) | 2008학년도 입학자 | 11 | 18 | 29 | 12 | 30 | 42 | 21 | 63 | 140 | 2008 |
정치외교학과 복수전공, 부전공
학과 | 적용년도 | 복수전공 | 부전공 | ||||
---|---|---|---|---|---|---|---|
필수 | 선택 | 계 | 필수 | 선택 | 계 | ||
정치외교학과 | ~ 2014년도 입학자까지 | 12 | 30 | 42 | 12 | 9 | 21 |
*필수과목(지정과목 4개): 국제정치입문, 비교정치입문, 한국정치입문, 정치사상입문 ★정치학영어강독은 전필과목 인정 안됨★ |
|||||||
정치외교학과 | 2015년도 입학자부터 ~2018년도 입학자까지 |
15 | 27 | 42 | 6 | 15 | 21 |
*필수과목: 국제정치입문, 비교정치입문, 정치사상입문, 한국정치입문, 정치학영어강독 | *필수과목: 비교정치입문, 한국정치입문 | ||||||
정치외교학과 | 2019년도 입학자부터 | 0 | 42 | 42 | 21 | 21 | 21 |
필수과목 없음 | 필수과목 없음 |
*2019학년도 입학자부터 필수과목이 삭제됨에 따라 기존 필수과목이 전공선택과목으로 개설됩니다. 하지만 2019학년도 이전 입학자들은 선택과목으로 개설된 기존 필수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졸업 자격 인증제
2010학년도 입학자(2012학년도 3학년 편입자)부터 적용한다. 다만, 재직자 특별전형·예체능 특기자전형·특수교육대상자전형 입학자와 장애학생지원센터에 등록된 자, 취업자, 창업자, 대학원 진학자(예정자 포함)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하며 외국인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은 별도의 규정으로 적용한다.(개정 2019. 12. 26, 2023. 4. 21., 2023. 12. 27.)
제3조(인증분야)학과(전공)별로 시행하는 졸업자격인정 항목 및 그 기준은 별표 1과 같으며 별표 1의 영어 및 제2외국어 항목에 대한 계열별 인증 기준은 별표 2와 별표 2-1과 같다.(2011.6.3, 2012.7.11)
제3조(적용대상)졸업자격인증제 인증분야는 영어 및 학과에서 채택한 분야로 한다.
제4조(인증기준)① 졸업인증을 위한 학부(과)별 인증분야 및 최소 인증기준은 [별표 1]과 같으며, 제2외국어 및 모험활동 분야의 인증기준은 [별표 2-1]과 [별표 2-2]와 같다. 다만, [별표 1] 중 ‘영어’ 분야의 인증기준의 토익점수에 상응하는 공인영어성적 환산표는 [별표 2-3]과 같다. (개정 2018. 6. 1., 2021. 7. 30.) ② [별표 1] 및 [별표 2-1]과 [별표2-2]의 인증기준을 인정 할 수 있는 범위는 입학(편입학 포함) 이전 또는 재학 중에 취득한 공인영어성적 점수 및 자격증을 모두 포함한다.(18.06.01)
제5조(대체인증)제4조의 인증 요건을 갖추지 못한 학생이 [별표 3]에 해당하는 대체 프로그램을 이수할 경우에는 졸업 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 다만, 대체 프로그램은 6학기부터 이수할 수 있다.(15.12.28)
[별표 1] 학과별 인증분야 및 기준 <개정 2023. 4. 21.>
인증항목 | 인증기준(최저점수) | 입학자적용 개시년도 |
---|---|---|
영어 | TOEIC 630 | 2010~2014 |
TOEIC 700 | 2015 |
[별표 2-3] 공인영어성적 환산표 <개정 2023. 4. 21.>
TOEIC | TEPS | NEW TEPS |
TOEFL | TOEIC Speaking |
OPIc | G-TELP (LEVEL 2) |
||
---|---|---|---|---|---|---|---|---|
CBT | PBT | IBT | ||||||
900 | 672 | 370 | 260 | 620 | 105 | Level 7(AL) | IM3 | 90 |
860 | 630 | 342 | 250 | 600 | 90 | Level 7(AL) | IM3 | 84 |
850 | 619 | 336 | 241 | 588 | 100 | Level 7(IH) | IM3 | 83 |
800 | 572 | 309 | 230 | 569 | 94 | Level 6(IH) | IM3 | 76 |
750 | 530 | 285 | 213 | 547 | 85 | Level 6(IM 3) | IM2 | 69 |
700 | 494 | 264 | 197 | 529 | 82 | Level 6(IM 2) | IM2 | 65 |
[별표 3] 대체 프로그램 <개정 2023. 4. 21., 2023. 12. 27.>
인증항목 | 대체과목 이수 방안 | 적용 대상자 |
---|---|---|
영어 | 교양과목 중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관련 2과목 이수하고, 이수한 성적이 각각 B0이상 취득한 경우(시사영어청취와토론, 실용영작문, 영문독해, 영어회화, 취업영어) | 2013년 이후 입학자 |
전공과목 중 영어로 진행하는 2과목 이수하고, 이수한 성적이 각각 B+이상 취득한 경우(전공필수과목 제외) | ||
언어교육부에서 영어 관련 이수 프로그램을 120시간 이상 이수한 경우 | ||
국제협력부 주관 해외자매대학 학점 인정 프로그램 4주 이상 이수한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