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제성
- 전공
- 비교정치/동남아정치 분야
- 직위
- 교수
- 전화번호
- 063) 270-2938
- 이메일
- jjeseong@gmail.com
- 담당과목
- 동남아사이정치론, 해외지역연구연습,동아시아와아세안, 민주정치론, 인도네시아의언어와정치
- 연구실
- 인문사회관 704호
학력
1983-1991년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이학사)
1992-1994년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정치학 석사)
1997-2002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정치학 박사)
경력
서강대 동아연구소 선임연구원, (사)한국동남아연구소 연구위원,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동아시아-다문화융복합연계전공 주임교수,
전북대 국제개발협력창의인재양성사업단(CK-1) 단장,
전북대 사회과학연구소 편집위원장, 동남아연구소 소장.
한국동남아학회 연구상임이사, 편집위원장, 부회장, 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호남정치학회장, 한국-인도네시아학술교류특별위원장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호남국제정치학회장, 동남아연구분과위원장
한국지방정치학회 부회장. 한국학술진흥재단 사회과학단(지역연구분야) 프로그램매니저(PM)
외교통상부(동남아과) 자문위원, 외교부(아세안국) 정책자문위원,
대통령직속 신남방위원회 민간자문위원,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정책연구심의위원
전라북도의회 자문위원, 전라북도국제교류진흥원 정책자문위원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위원장, 518기념재단 국제위원, 광주민주포럼 기획위원.
ANFREL(아시아자유선거네트워크) 인도네시아총선거 국제감시단원(1999)
자카르타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초빙연구원(2000)
LBH Surabaya(인도네시아법률구조재단 수라바야지부) 자원활동가(2001)
JPPR(인도네시아유권자교육국민연대) 국제선거감시단원(2004)
Presidential Friends of Indonesia 한국대표(2009)
교토대 동남아지역연구소 초빙연구원(2011).
우수논문상(2002, 서울대 사회과학대학원장 수여),
동행상 봉사부문 우수상(2021, 전북대 총장 수여),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우수성과 50선(2023, 교육부총리 수여) 수상.
저술
[논문]
“노동과 자본의 숨겨진 대결: 재벌기업 전자공학계열 연구소의 경우”,
“경제성장과 정당성 사이에서: 1990년대 노사분규 폭증과 인도네시아 정부”,
“인도네시아 자유총선의 성과와 과제”, "경제위기 시대의 인도네시아식 ‘정의’”
“경제위기, 정치개혁, 그리고 인도네시아 한인기업 노동문제”,
“수하르또 치하 인도네시아에서 노동계급의 '조직화 없는 저항'”,
“민주화 이후 인도네시아에서 노동조합 자유화와 자본의 반격”,
“인도네시아에서의 노동자 리더십의 등장”,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노동억압”,
“인도네시아 역사교과서의 일본점령기 평가”,
“인도네시아의 민주화: 교착상태에 빠진 절반의 이행”,
“인도네시아의 경제위기와 노동법 개정: 통제와 보호로부터의 이중적 자유화”
“민주화 이행기 인도네시아 노동운동단체의 조직노선”,
“인도네시아 노동운동 현황: 국가의 온정주의와 노동의 보완적 교섭전략”,
“인도네시아 한인기업의 노사분규와 현지 지식의 빈곤”,
“한국의 동남아 연구 동향과 과제: ‘제3세대’ 연구자 선언을 기대하며”,
“인도네시아의 총체적 위기와 메가와티의 정치리더십”,
“동남아의 참여적 지역주의와 동아시아공동체”,
“한국의 동남아학 교육과정과 지역연구자 육성모델 연구”(공저),
“한국정치학계의 제3세계의 지역연구: 동남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를 중심으로”(공저),
“Strategies for Union Consolidation in Indonesia”,
“한국의 동남아 지역연구와 정치학계의 기여”, “인도네시아 국가와 외국인자본 관계의 변화”,
“Historical Dynamics of Southeast Asian Studies in Korea”,
“Southeast Asian Studies in Korea since the 1990s”(공저),
“인도네시아의 대학교육: 발전을 위한 개혁과 도전”,
“무니르의 생애로 본 인도네시아의 사회운동과 민주화”,
“한국의 인도네시아 연구 동향: 외적 팽창의 지속, 내적 분리의 심화”(공저),
“경제 활동의 이슬람화: 인도네시아 사례연구”(공저),
“해외투자 한인기업 노사관계의 현지화: 미원인도네시아 사례연구”,
“아세안 경제공동체 건설과 이주노동분야 현황과 시사점”,
"한국의 동남아 지역연구 현황과 지리학의 기여 가능성",
"인도네시아 2016: 조코위의 기반 다지기와 '정체성의 정치'의 도전"(공저),
"대한민국 해외투자 선구자들의 초국적 연계성과 의식세계"(공저),
"한국의 동남아연구 성장과 포괄성 문제”,
“한국 대학의 동남아시아 관련 교육과정: 현황과 대안”(공저),
“코로나19에 맞선 동남아의 대응: 초기 대처과정의 잠정적 함의”(공저),
“인도네시아 보편적 건강보장 체계의 형성”(공저),
“동남아시아 교육과정 신설과 발전을 위한 연대 전략”(공저).
[저서] ... 모두 공저
『보수주의자들』, 『동아시아 발전 모델은 실패했는가』, 『현장과 이론』,
『인도네시아 NGO 리포트』, 『이주노동자 인권수첩』, 『외국인노동자 문화가이드북』,
『동남아의 경제성장과 발전전략: 회고적 재평가』, 『동남아의 구조조정과 개혁의 정치경제』,
『동남아 권위주의의 역사적 기원』(역서), 『동아시아 연대운동단체 백서』,
『위기극복의 정치리더십: 동남아 4개국 정치지도자 비교연구』,
『위기에서 협력으로: 동남아 지역협력의 확대와 심화』,
『협력에서 공동체로: 동아시아공동체의 동향과 과제』,
The Promise of ICTs in Asia, 『세계화와 한국의 국가-시민사회 II』,
『책으로 읽는 21세기』, 『키워드로 읽는 동아시아』, 『21세기 한국외교와 국가이익』,
State Violence and Human Rights in Asia,
『맨발의 학자들: 동남아 전문가 6인의 도전과 열정의 현지조사』,
『인도네시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인도네시아: 투자와 이주를 통한 문화 교류』,
Era Emas Hubungan Indonesia-Korea, 『동남아의 이슬람화 1』,
ASEAN-Korea Relations: Twenty-Five Years of Partnership and Friendship,
『한-아세안 관계: 우호와 협력의 25년』, 『말레이세계로 간 한국기업들』,
『한국의 동남아시아연구: 역사, 현황 및 분석』,
『코로나19에 맞서는 동남아시아: 국가별 초기대응과 초국적 협력에 관한 연구』,
『동남아시아의 건강보장』, 『한국 시민사회의 동남아시아연대운동』,
『인도네시아 노동체제와 한국기업의 적응에 관한 연구』,
『동남아시아 농업분야 개발협력사업 성공요인 분석: 지역사회 개발협력 사례 중심으로』,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Indonesia dalam Transisi: Catatan Para Indonesianis Korea,
『해외지역학 교육의 개방과 연대: 동남아시아 관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